떠먹여주는 경제 뉴스7 [떠먹여 주는 경제뉴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결정_25.02.25 2025년 2월 25일, 한국은행(한은)은 기준금리를 연 3.00%에서 2.75%로 0.25%포인트 인하했다. 이는 경제가 어려워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금리를 내려 사람들이 더 쉽게 돈을 빌리고 소비와 투자가 늘어나도록 하려는 조치다. ✅ 1. 기준금리란 무엇이고 왜 중요한가?기준금리는 한국은행이 시중은행에 돈을 빌려줄 때 적용하는 이자율이다.시중은행은 이 기준금리에 따라 사람들에게 돈을 빌려주는데, 기준금리가 내려가면 은행도 더 낮은 이자로 대출을 해주기 때문에 사람들이 돈을 더 쉽게 빌릴 수 있게 된다.이렇게 되면 사람들이 소비와 투자를 늘리면서 경제가 활기를 되찾게 된다.✅ 2. 이번에 기준금리를 내린 이유는?① 내수경기 침체(국내 경제가 너무 부진함)소비자들이 지갑을 닫고 돈을 쓰지 않으면서.. 2025. 2. 25. [떠먹여주는 경제뉴스] S&P500 ETF 총보수 인하 경쟁_어디가 가장 유리할까?_250213 최근 국내 자산운용사들의 S&P500 ETF 총보수 인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관련 기사들을 종합하여 주요 정보를 쉽게 풀어본다.🧐 S&P500 ETF란?미국 대표 기업 500개(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등)에 자동으로 투자하는 상품개별 주식을 사는 게 아니라 미국 경제 전체에 분산 투자하는 효과가 있다장기 투자하기에 적합한 상품이라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진다📌 ETF 투자 비용은 어떻게 결정될까?ETF에 투자할 때 생각보다 여러 가지 비용이 발생한다.그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총보수(Total Expense Ratio, TER)'다.✅ 총보수(TER)란?ETF를 운용하는 데 드는 기본적인 비용운용보수 + 판매보수 + 수탁보수 + 사무관리보수 등을 포함총보수가 낮을수록 투자자가 부담하는 .. 2025. 2. 13. [떠먹여주는 경제뉴스] 2월 기준금리 인하, 환율과 미국 금리 정책이 변수_250211 💰 2월 금리 인하, 정말 이뤄질까? 환율이 변수!최근 경제 뉴스*에서는 한국은행이 2월에 기준금리를 내릴지 아닐지에 대해 말이 많다. 원래는 거의 확실하게 내릴 것처럼 보였지만, 환율 문제와 미국의 금리 정책 때문에 상황이 예상과 달리 흐르고 있다. 왜 그런지 쉽게 정리해본다. *헤럴드경제 📌 1. 금리 인하는 왜 중요한가?👉 기준금리는 한국은행이 정하는 가장 기본적인 금리다. 은행들이 이 금리를 기준으로 대출 이자율을 결정한다.👉 금리가 내려가면 대출 이자율도 낮아져서 사람들이 돈을 빌리기 쉬워진다. 그러면 기업도 투자하기 좋아지고, 소비도 늘어나면서 경제가 활발해지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너무 낮추면 물가가 오를 수 있고, 환율(원화 값)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서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2025. 2. 11. [오늘의 경제뉴스 요약] 트럼프,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 부과 및 상호관세 계획_250210 트럼프,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 부과 발표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할 계획을 발표했으며, 11~12일에는 상호관세 정책도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쿼터제 폐지, 한국도 영향권트럼프는 첫 임기 때도 철강 25%, 알루미늄 10%의 관세를 부과했으며, 한국을 비롯한 일부 국가에는 일정 물량까지 관세를 면제하는 쿼터제를 적용했다. 그러나 이번 조치는 모든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일괄적으로 적용되므로 기존 쿼터제는 의미가 없어질 가능성이 크다.한국은 미국에 철강을 네 번째로 많이 수출하는 국가로, 이번 조치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상호관세 즉각 발효 예정트럼프는 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국가들에.. 2025. 2. 10. [오늘의 경제뉴스] 연금계좌 해외 ETF 배당, 이중과세 논란과 정부대책_250206 올해부터 시행된 세법 개정으로 인해 연금 계좌에서 해외 ETF 배당을 받을 경우 이중 과세 문제가 발생한다.정부는 이에 대한 대책을 논의중이며 새로운 공제율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이번 개편과 그에 따른 논란, 그리고 정부의 대응 상황을 정리해보았다.연금계좌 해외 ETF 배당, 왜 이중과세 논란이 생겼나?기존에는 해외에서 원천징수된 세금을 국내에서 선환급받고, 이후 연금 수령 시 국내 세율로 과세하는 방식이 적용되었다. 하지만 올해부터 개정된 세법에서는 선환급 절차가 사라지면서 배당금 지급 시 즉시 세금이 원천징수되고, 연금수령 시에도 추가로 연금소득세(3~5%)가 부과되는 구조로 바뀌었다.즉, 연금계좌에서 해외 ETF 배당을 받을 경우, 배당시 1차 과세 (해외 세율 적용) 후, 연금 수령시 2차 과세 .. 2025. 2. 6. [오늘의 경제뉴스] 삼성 반도체 위기와 기회_250203, 250204 위기의 삼성 반도체_250203삼성전자는 4년전 처음으로 시가총액 기준 엔비디아에게 밀렸고, 현재 그 격차는 20배 이상 벌어져 더욱 뒤처지고 있음.삼성 반도체는 메모리 반도체, AI 반도체, 파운드리 등 모든 영역에서 경쟁사에 뒤처지고 있음.올해 출시한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갤럭시 S25의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는 자사가 아닌, 미국 퀄컴이 설계하고 대만 TSMC가 생산한 '스냅드래곤 8엘리트'가 탑재됨.갤럭시S25의 기억장치(메모리)인 D램 1차 공급사마저 자사가 아닌 마이크론을 선정함.AI에 특화한 대용량 D램인 고대역폭메모리(HBM)의 등장과 함께 이를 발빠르게 개발한 SK하이닉스가 삼성전자를 제치고 세계 메모리 반도체 작년 영업이익 1위로 등극.한편, 미국 정부은 사실상 모든 HBM의 중국 수.. 2025. 2. 4.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