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떠먹여주는 경제 뉴스

[떠먹여 주는 경제뉴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결정_25.02.25

by 모나오25 2025. 2. 25.

2025년 2월 25일, 한국은행(한은)은 기준금리를 연 3.00%에서 2.75%로 0.25%포인트 인하했다. 이는 경제가 어려워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금리를 내려 사람들이 더 쉽게 돈을 빌리고 소비와 투자가 늘어나도록 하려는 조치다. 

 

ChatGPT 생성이미지

 


1. 기준금리란 무엇이고 왜 중요한가?

  • 기준금리는 한국은행이 시중은행에 돈을 빌려줄 때 적용하는 이자율이다.
  • 시중은행은 이 기준금리에 따라 사람들에게 돈을 빌려주는데, 기준금리가 내려가면 은행도 더 낮은 이자로 대출을 해주기 때문에 사람들이 돈을 더 쉽게 빌릴 수 있게 된다.
  • 이렇게 되면 사람들이 소비와 투자를 늘리면서 경제가 활기를 되찾게 된다.

2. 이번에 기준금리를 내린 이유는?

내수경기 침체(국내 경제가 너무 부진함)

  •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고 돈을 쓰지 않으면서 기업들의 매출이 줄어들고 있다. 예를 들어, 외식, 쇼핑, 여행 등 다양한 분야에서 소비가 줄면서 경제가 위축되고 있다.
  • 특히 주택 거래가 줄면서 가계대출도 많이 감소했다. 이번 금리 인하는 이런 소비 부진을 해결하기 위해 사람들이 돈을 더 쉽게 빌려 쓰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수출 둔화와 미국의 관세 정책

  • 미국의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수입세)를 높이려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한국의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 수출이 줄어들면 경제성장에 타격이 오기 때문에 금리를 낮춰 기업들이 더 쉽게 돈을 빌려 투자를 늘릴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강달러가 약간 안정됨

    • 최근까지 달러의 가치가 높아서 원화 가치가 상대적으로 낮았는데, 이로 인해 수입 물가가 올라가면서 물가가 상승했다.
    • 하지만 최근에는 달러 강세가 조금 약해졌기 때문에 금리를 내려도 환율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판단했다.

          ※금리 인하와 환율의 관계

    • 보통 금리를 내리면 외국인 투자자들이 더 높은 이자 수익을 얻기 위해 다른 나라로 돈을 옮기면서 원화의 가치가 떨어지고(환율 상승), 달러가 더 비싸지는 효과가 나타난다.
    • 하지만 이번에는 달러 강세가 약해지면서 원화가 상대적으로 안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금리를 내려도 환율이 급격히 오를 위험이 크지 않다고 본 것이다.
    • 따라서 한국은행은 이번 금리 인하가 환율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판단한 것이다.

물가는 안정적인 수준

  •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2%였는데, 이는 한국은행이 목표로 삼는 2% 수준과 크게 차이나지 않는다.
  • 앞으로도 물가가 안정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금리를 내려도 물가가 급격히 오를 위험은 크지 않다고 판단했다.

3. 금리 인하가 경제에 어떤 영향을 줄까?

  • 소비와 투자 촉진: 금리가 내려가면 사람들이 은행에서 더 낮은 이자로 돈을 빌릴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집을 사거나 차를 사려는 사람들이 이자 부담이 줄어 소비가 늘어난다. 기업들도 싼 이자로 자금을 빌려 더 많은 투자를 할 수 있다.
  • 부동산시장에 미치는 영향: 금리가 내려가면 대출이 더 저렴해지기 때문에 부동산 가격이 오를 수 있다. 하지만 이번에는 서울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부동산 시장이 여전히 침체된 상태이므로, 한국은행은 부동산보다는 경제 전반을 살리는 데 초점을 맞췄다.
  • 수출 기업에 도움: 금리가 내려가면 환율에 영향을 주어 원화 가치가 낮아질 수 있다. 원화 가치가 낮아지면 외국에서 우리나라 제품이 더 싸게 보이기 때문에 수출 경쟁력이 높아진다.

4. 금리 인하 결정은 어떻게 이루어졌을까?

금리를 결정하는 한국은행의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에서는 다음과 같은 의견들이 나왔다:

  • 만장일치로 금리 인하: 위원 6명 전원이 이번에는 금리를 내려야 한다고 동의했다. 그만큼 내수경기 침체가 심각하다는 뜻이다.
  • 앞으로 3개월 내에 금리가 더 내려갈까?
    • 4명은 앞으로 3개월 동안 현재의 2.75% 금리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고 봤다.
    • 2명은 경제가 더 나빠질 경우 추가로 금리를 더 내려야 할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결국 모두가 지금은 금리를 내려야 할 시기라고 생각했지만, 추가 인하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렸다.


5. 앞으로 금리가 더 내려갈까?

  • 한국은행은 앞으로도 경제 상황을 보면서 필요하면 금리를 더 내릴 수도 있다고 밝혔다.
  • 시장에서는 올해 안에 금리가 2~3번 더 내려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하지만 금리를 너무 많이 내리면 나중에 경제가 더 나빠졌을 때 사용할 수 있는 정책이 없어질 수 있기 때문에 신중하게 결정할 것이다.

6. 주요 전문가들의 의견은?

  •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
    • 내수경기가 너무 부진해서 더 이상 금리 인하를 미룰 수 없다고 설명했다.
    • 캐나다, 유로존, 영국 등 주요 국가들도 이미 금리를 내렸기 때문에, 한국도 글로벌 경제 흐름에 맞춰 금리를 내렸다고 말했다.
    • 부동산 시장이 일부 지역에서만 상승세를 보이고 있을 뿐, 전체적으로는 여전히 침체 상태이므로 이번 금리 인하가 필요했다고 강조했다.
  • 한은 총재의 발언:
    • 경기 둔화와 미국의 관세 정책으로 경제가 더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에 이번 금리 인하는 불가피했다고 밝혔다.
    • 하지만 앞으로도 물가, 성장률, 금융안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금리 인하 속도와 시기를 신중히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7. 결론

이번 기준금리 인하는 내수경기가 너무 부진하고 수출이 둔화될 조짐을 보이기 때문에 경제를 회복시키기 위한 조치다. 금리가 내려가면 사람들이 더 쉽게 돈을 빌릴 수 있게 되고, 소비와 투자가 늘어나면서 경제에 활력이 돌아오게 된다.

앞으로 경제 상황에 따라 금리가 더 내려갈 수도 있지만, 한국은행은 물가와 금융안정을 고려해 신중하게 결정할 것이다. 이번 결정은 단순히 부동산 시장을 자극하기보다는 경제 전반을 살리기 위한 조치로, 글로벌 경제 흐름에 맞춘 판단이라고 볼 수 있다.

 

위 내용을 영상으로 보기▶

https://youtu.be/qSmRyduakcc

 

 

 

Ref.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232390?rc=N&ntype=RANKING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5/0001234879

https://n.news.naver.com/article/123/0002353677?type=main

 

한은 총재 "내년 1.8% 성장 받아들여야…한국 현재 실력이 그 수준"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오늘(25일) "내년 1.8% 성장 전망은 괜찮은 수준"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이 총재는 오늘 한은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연 3.00%에서 2.75%로 인하한 후

n.news.naver.com

 

 

한은 총재 "올해 1.5% 성장전망 중립적…내년 1.8%도 받아들여야(종합)

"美 관세 불확실성 더 커져, 재정정책과 공조 필요" "정부, 신산업 도입 안 한 점 뼈아프게 느껴야" "금통위원 6명 중 4명, 3개월 내 연 2.75% 유지 의견"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한지훈 민선희 기자 =

n.new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