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통장에 있는 돈을 그대로 놔두면 금리가 어느 정도 될까? 내 월급 통장 [우리 SUPER주거래 통장]의 경우 연 0.1% (2024.05.24 세금납부 전 기준)! 여기에 가만히 월급을 쌓아놓는 것은 손해다. 경각심을 갖고 안전 자산을 굴리기 위한 다른 옵션 - 적금, 예금, 파킹 통장 - 을 찾기 시작했다.
적금 vs. 예금 vs. 파킹 통장 비교
우선 일반적인 적금, 예금, 파킹 통장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상세 사항은 상품마다 다르니 상품설명서를 꼭 확인해야한다.
적금 | 예금 | 파킹통장 | |
입금방식 | 매월 일정 금액 | 한번에 목돈 | 자유롭게 입출금 가능 |
기간 | 6개월~3년 | 3개월~5년 | 무제한 |
이자지급 | 만기에 지급 | 만기에 지급 | 매월 또는 매일 지급 |
금리 수준 | 비교적 높음 | 중간 | 낮음 (일반 입출금 통장보다는 높음) |
중도 인출 가능 여부 | 불가능 (해지 시 이자 손해) | 불가능 (해지시 이자 손해) | 가능 (이자도 받을 수 있음) |
추천 대상 | 매달 돈을 모으고 싶을 때 | 목돈을 안전하게 불리고 싶을 때 | 돈을 장기간 묶어두기 어려울 때 자유롭게 돈을 넣었다 뺐다 하면서도 이자도 챙기고 싶을 때 |
은행 금리와 개인 자금 운용 방식에 따라 다르겠지만, 내 경우 최소 1년간 묶어둘 수 있는 자금이 있어, 적금과 예금 위주로 알아보았다.
나에게 맞는 적금 찾기
-시간&수고 vs. 최종 수령액-
당장 네이버에 '이자 높은 적금'을 치면 최고 금리 순으로 은행별 적금 상품들을 비교해 볼 수 있다. 처음엔 이런 적금들을 편견없이 하나씩 클릭해서 조건과 만기시 세후수령액을 계산해본다. 조건을 만족시키는 데 드는 나의 시간과 수고 대비 금액이 괜찮다면 조건을 감수하고 적금을 들 수 있다.
고금리 적금에는 이유가 있다. 보통 금리우대를 위한 조건들 - 카드를 만들어서 얼마 이상을 써야한다든지, 월급통장을 연동해야한다든지 등- 이 걸려있다.
예를 들어 현재 최고 금리를 자랑하는 전북은행 JB 슈퍼씨드 적금을 보자. 최고 금리 연 13.30%만 보면 혹 할만하다.

상세 조건을 살펴본다. '모바일뱅킹에 신규 가입'이야 간단하다. '슈퍼씨드 확인페이지에서 씨드를 확인하여 획득' 이거는 뭐지? 상세 사항을 보면, JB뱅크 앱에서 전월 적금 납입시 '씨드'를 한 개 받는데 이걸 매달 앱에 들어가 확인해야한다. 이 중, 매월 500개당 1개 지급되는 '슈퍼씨드'에 당첨이 되면 납입금액 전체에 10% 우대이율이 적용된다.


이제 실제 비용을 계산해본다. 넣을 수 있는 최대치인 월 50만원을 12개월간 넣었다 치면, 슈퍼씨드 당첨시, 1년 만기 후 365,684원, 미당첨시 기본 90,734원의 이자를 받는다. 그리고 슈퍼씨드에 당첨될 확률은 매우 낮다.



이런 이벤트성 우대금리 외에도, 아이가 있는 가정, 청년층, 장병, 특정 지역민, 등 각자의 조건이 맞는다면 확인해볼 만한 상품들이 다양하다. 하지만 이런 특정 조건에 해당되지 않는다면, 지금 시중 은행들의 '고금리' 적금 상품들이 리소스 대비 최종수령금액의 가치를 따졌을 때 혜택이 크지는 않아보인다.
나에게 맞는 예금 찾기
-입출금보단 나으니까, 안전하고 조건 없이-
예금도 위와 같은 방식으로 네이버에서 간단하게 비교해볼 수 있다. 기본 금리 기준, 현재 거의 모든 은행 금리가 2프로대다. 그래도 입출금 통장보다는 낫고, 수고로운 조건 없는 상품들을 찾아볼 수 있다.

추가로, 본인이 가진 은행 앱을 살펴보는 것도 방법이다. 우리은행 같은 경우, '나만의 예적금 찾기'라는 메뉴가 있다. 여기 들어가면 나에게 가장 적합한 예적금 상품을 알려준다. ( 요즘 금융권 앱들이 편리하고 재밌다.)
우리WON뱅킹 > 1.상품 > 2.입출금/예금/적금 > 3.나만의 예적금 찾기

가입 전, 원금 얼마를 몇개월간 납입시 얼마의 이자를 받을 수 있는지 계산해볼 수 있다. 역시 2%대 이자가 나오지만 목돈이 입출금 통장에서 0.1%로 묵혀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안전 자산으로 갖고 있기에 좋은 선택일 수 있다.


끝.
'저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행금리 2%시대, 내가 고른 고금리 예금 & 파킹통장 조합 (+다계좌 개설 주의사항) (0) | 2025.03.19 |
---|---|
[저축] 파킹통장 금리 비교-최적의 수시입출금 통장 찾기 (0) | 2025.03.15 |